bps란
주식공부를 하다보면 낯선 용어들이 꽤 많습니다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 대충이나마 이해를 하는것이 이 주식이 싸고 비싼지, 이 회사가 괜찮은지 그렇지 않는지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요 물론 이러한 수치가 절대적인건 아닙니다 다만 최소한 좋고 나쁨에 대한 하나의 기준이 될 수 있으므로 용어파악에 대한건 이해하고 넘어가는것이 좋습니다.
주식에서 bps 란이 의미하는 바를 이해하셔야만 합니다 단순히 주당순자산으로만 알고 있다면 큰 의미가 없습니다 bps값이 무엇을 뜻하는지를 알아야 기업의 가치를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bps에 대한 이해 - 높을수록 긍정적

기업이 운영을 그만둔다고 했을때 1주당 나에게 돌아오는 금액이라 보시면 되겠습니다 내가 매수한 주가가 10만원이고 bps가 20만원이면 회사가 망해도 나에겐 손해 볼 일은 없다는것이고 이는 부채보다 자산이 훨씬 많다라는것도 의미하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자산-부채/주식수의 값이기 때문입니다.
bookvalue = 순자산(자산-부채)
per = 당
share = 주
주당순자산이 바로 bps값
회사의 이익이 클수록 bps는 증가합니다 반대로 이익을 내지 못하고 득 보다 실이 많아 부채만 늘어나면 bps는 떨어지게 되므로 이러한 회사는 좋다고 할 순 없습니다.
bps가 주는 의미 - 주가에 미치는 영향이 절대적일까?

기업의 재무제표를 보게 되면 매년 혹은 분기별 bps값을 표기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갖는 의미 중 하나가 pbr×bps=현재 주가를(pbr(1.5배)×bps(2000원)= 3000원) 나타내는것이며 bps가 높아질 수록 기업의 가치가 좋다라고 해석이 가능합니다 다만 bps만 갖고 주가를 판단하는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지만 연간 꾸준히 bps값이 성장하는 회사가 좋은 회사로 보는게 보편적인 시각입니다.
여기서 함정 아닌 함정이 생깁니다 bps가 매년 좋아지니깐 주가 또한 우상향 할 수 있으니 매수해도 괜찮겠네? 라고 하실 수 있습니다만 꼭 그렇진 않습니다 bps가 아무리 좋아도 주가가 하락하거나 횡보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bps만 보고 판단해선 안됩니다.


자 여기 한 기업의 bps 값과 주가의 흐름입니다 2017년부터 18년, 19년, 20년까지 bps가 꺾임 없이 증가한것으로 재무제표에 나타나 있습니다 매출액 등을 살펴봐도 이익증가가 꾸준합니다 그러니 아.. 이 회사 돈 잘 벌고 꽤 괜찮네? 그럼 주가도 계속 올랐겠네? 라고 생각할 수가 있으나 주가를 보세요 bps와 다르게 주가는 그렇지 않습니다 따라서 bps 하나의 지표만 봐서는 안되는겁니다.





그리고 bps값을 굳이 직접 구하지 않아도 됩니다 주식 bps가 높은게 좋은거다(높아질수록) 라는 정도로만 이해하시면 되고 재무제표에 다 표기가 되어 있으므로 이걸 참조하는 정도로만 해도 충분합니다 따라서 ※ bps란 값이 높으면 회사의 매출이 높다라는 뜻이므로 좋은거다 이렇게 정리해볼 수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