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양권 전매제한 이란 뜻 쉽습니다

부동산에 대해 공부를 하는 분들이 점차 많아지고 있습니다 투자를 할려면 기본지식은 가지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공부는 필수라 할 수 있는데요 여러가지를 알아야 하지만 오늘은 분양권 전매제한 이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려고 합니다 요즘에는 규제가 심해지다보니 몇년전의 지식만으론 힘들 수가 있습니다.

 

힘들다는것이 잘못 알고 있는 지식 때문에 손해를 볼 수 있다는 이야기인데요 분양권 전매제한 뜻도 의외로 정확하게 모르는 분들이 많으시더군요 부동산 정책이 자주 바뀌다보니 최근엔 어떻게 달라지게 되었는지 정도는 알아두는것이 좋은만큼 되짚어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분양권 전매제한 뜻 몇년간 매매를 못하게 하는 법안 (불가능)


분양권 전매제한 이란

분양권은 다들 아시다시피 아파트 분양할때 청약시 당첨 후 10% 계약금을 내게 되면 분양권을 소유하게 됩니다 몇년전만 하더라도 분양권만 있으면 언제든지 내다팔 수가 있었는데요 이로 인해 청약률이 높아지고 계약금만으로도 청약할려는 분들이 꽤 많았었습니다 분양가가 3억인데 청약 당첨 되고 얼마 지나 4억이 되었을때 되팔아 시세차익을 노리는 경우가 많이 이를 규제하기 위해 몇개월, 몇년까지는 분양권을 못 팔게끔 하는 정책이 시행하게 되었습니다.

 

 

분양권 전매제한 뜻은 6개월 또는 3년, 5년 이내에는 팔지 못하게 금지하는것입니다 규제지역에 따라 기간의 차이는 있을 수가 있으므로 이 점은 확실히 인지하는것이 좋습니다.

 

 

 

 

 

 

분양권 전매제한 언제부터 시작인가요?


분양권 전매제한 뜻

그렇다면 분양권 전매제한이 시작되는 지점, 언제부터인지를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저 또한 이 부분에서 헷갈려하기도 하였는데요 정답은 최초계약일 기준입니다 분양 당첨되고 계약서 쓴 날로부터 시작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가령 2021년 11월 16일에 계약했다라고 하면 16일부터입니다.

 

 

 

 

 

 

분양권 전매제한 기간은? 확인은 어디서?


분양권 전매제한 이란

그럼 분양권 전매제한은 언제까지 적용이 되나요? 하고 질문 할 수 있습니다 지역에 맞게 정해져 있는데 이 또한 수시변동이 있을 수 있으므로 수시로 확인이 필요합니다 일단 최근에 나온걸 보면 투기과열지구의 경우 5년이며 청약과열지주(조정대상지역)는 3년이 국룰이라 보시면 됩니다 시기에 따라 같은 지역이지만 6개월인 곳도 있습니다만 정책상 변동으로 인해 바뀝니다.

 

 

분양권 전매제한 기간이 정확하게 몇년인지를 알 수 있는 방법은 분양 할 아파트 `모집공고문`에 표기가 되었으므로 여기서 확인하는것이 제일 정확합니다 계속 말씀드리지만 부동산 정책이 언제든지 바뀌므로 모집공고문에서 체크하시는걸 권장드립니다.

 

 

 

 

 

 

분양권 전매제한 해제는 언제인가요? 매매 가능한 시점


분양권 전매제한 뜻

전매제한 기간이 3년이라고 가정하였을때 아파트 공사기간이 3년이 넘으면 완공이 되지 않더라도 팔 수가 있으며 3년 이하, 2년 5개월에 입주하게 된다면 등기 후 3년 이후에 파는것이 가능해집니다 많은 분들이 오해하는것 중 하나가 등기치고 바로 팔면 되겠네라고 생각한다는겁니다 포인트는 전매제한 기간을 넘겨야 한다는것! 기억하세요!